장례정보 제례안내

제례안내

 

장례행사 중 지내는 제사

종류 내용
성복제 입관이 끝나면 남·녀 상주들은 정식으로 상복을 입고, 분향소에서 제수를 올리고, 향을 피우며 첫 제사를 올리는데 이것을 성복제라 합니다. (유교와 불교식에서 행함)

※ 최근에는 성복제를 올리기 전에 상복을 입고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발인제 장지로 떠나기 전 분향실에서 제물을 준비해 지내기도 하며, 故人을 영구버스(영구차)에 모셔 놓고 지내는 제사를 발인제라 합니다.
발인제는『이제 故人 000님의 유택(무덤)으로 모시고자 하오니 저희들과는 이세상에서 다시 뵙지 못하는 영원한 이별을 하오니, 故人의 평안을 비는 마음』에서 지내는 제사입니다.
노제 장지로 가는 도중에 평소 故人이 애착이 있던 곳이나, 살았던 곳에 들러 지내는 제사입니다.
사토제
(산신제)
묘의 광중을 파기 전에 올리는 제이며, 이 곳에 광중을 세우니 신(神)께서 보우하사 후한이 없도록 지켜 주길 비는 마음에서 지내는 제사입니다.

* 광중 : 땅을 사각으로 파서 관을 모시는 자리
평토제 광중을 메우기 시작하여 평지와 높이가 같게 되면 지내는 제사이며 사위가 담당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있습니다.
성분제 장지에서 봉분(무ㄴ덤만들기)이 완료되면 지내는 제사로, 무덤을 여기에 정하였으니 신께서 보우하사 후한이 없도록 지켜 주길 비는 마음에서 지내는 제사입니다.
초우제 산에서 돌아온 날 저녁에 지내는 제사입니다.장지가 멀어 다른 곳에서 숙박을 하더라도 그 곳에서 제를 지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재우제 산에서 돌아온 다음날 식전에 지내는 제사이나, 요즘은 재우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삼우제 발인한 날로부터 이틀째 되는 날 장지에서 지내는 제사입니다.

* 우제 : 돌아가신 영혼을 위로하는 제사로써 집에 돌아온 자손들이 故人을 홀로 묘소에 모셔 놓게 되어 외롭고 놀라지 않을까 걱정되어 예를 드리는 의식입니다.
49제 임종하신 날부터 49일이 되는 날 지내는 제사입니다. 49제는 불교 행사로서 육체를 이탈한 영혼은 바로 극락으로 가지 못하고 온갖 세파에서 저지른 죄악을 정화하는 기간이며, 어느 곳으로 갈 것인지 정해지지 않아 심판의 결과를 기다리는 기간을 49일로 보고있어 가족들은 영혼이 좋은 곳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지내는 제사 입니다.

* 오늘날 49제는 발인일로 부터 49일에 해당하는 날에 49제를 행하기도 합니다.
한식성묘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매년 양력 4월 5일 또는 6일) 지내는 제사입니다.한식날 종묘와 능원에서는 제 향을 올리고 민간인은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성묘를 하러 갑니다.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날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로, 지내는 시간은 자정에 지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위령제 대체로 전쟁이나 천재지변 또는 대형사고로 인해 많은 생명이 희생되었을 때 죽은 이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합동으로 지내는 제사입니다.

장례행사 후 지내는 제사

종류 내용
기제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까지의 4대 제사를 각기 휘일(사망일)의 첫새벽에 영위(靈位)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는 것을 기제사(忌祭祀)라 합니다. 기일 제사는 원래 고전 예서에는 없는 것으로 후대에 이르러 기일(忌日)을 그냥 넘기기 미안한 마음에서 인정상 추가된 예입니다.
제사는 축제와 같은 길례(吉禮)였으므로 조상이 돌아가신 슬픈 날에 행하는 기일제는 제사의 본래 취지에 어긋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차례 절사(節祀), 다사(茶祀)라고도 합니다.
원단(1월1일), 추석(음력8월15일), 단오(음력5월5일), 동지 등의 아침에 지내는약식 제사로서 4대조까지를 동시에 지냅니다.
세제 묘사(墓祀), 묘제라고도 하여 음력 시월 보름날에 지내지만 지방, 문중에 따라 10월 중 적당일에 시조(始祖)이하 전 조상님들을 한꺼번에 모시고 지내는 제사입니다.
모든 후손들이 모여 가문과 조상의 음덕을 자랑하고 문중 친족의 역사와 명예를 다지기도 합니다.
사시제 철에 따라 지내는 제사로 음력 2, 5, 8, 11월의 상순의 정일이나 해일(亥日)을 택해 지냅니다. 옛날에는 정제(正祭)라 하여 가장 중요시했습니다. 춘하추동 4계절에 한 번씩 고조 이하 조상을 함께 제사하던 합동 제사의 성격을 가지며 조선시대 이후 기제사가 중요시되면서 시제의 중요성이 점차 퇴색되었습니다.
한식성묘 청명(淸明) 다음의 절기로 동짓날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보통 4월4일, 5일 경이다. 예전에는 이날 조상께 제사를 올리고 성묘했습니다. 집에서 제사를 모셨을 때는 묘제는 생략합니다다. 묘제는 설날, 한식, 단오, 추석 등 네 번 지냈습니다.
이제 음력 9월 계추에 돌아가신 부모를 위해 지내던 제사입니다. 전달 하순 제일을 택해 지냈으나 일반적으로 시행하지 않습니다.
24시간 안내 및 문의
복잡하고
어려운 장례절차,
교원예움이
도와드립니다.